2 분 소요

📝RAID란?

  •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의 약자입니다. 2개이상의 디스크를 배열하여 속도의 증대, 안정성의 증대, 효율성, 가용성의 증대를 하는데 쓰이는 기술입니다.

    서버의 사용자가 서버 운영에 있어 가장 당혹스러울 때는 하드디스크의 장애로 인한 data 손신일 것입니다. 하드디스크는 사실 상 소모품으로 분류되며 I/O 가 많은 서버에서 고장이 잦은 것이 당연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에서 저장되는 데이터의 경우 손실 또는 유출 되었을 때 치명적인 것이 대부분일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은행과 같은 금융, 군사적 목적의 데이터가 있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백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있고 또한, 여분의 디스크가 있어 용량을 증설하려고 할 대 데이터 손실 없이 증설이 필요한 겻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서버 관리자는 RAID 구성을 통해 하드디스크의 가용성을 높이거나 서버 데이터의 안정선을 확보해야 합니다.

RAID의 장점

  1. 운용 가용성, 데이터 안정성 증대
  2. 디크스 용량 증설의 용이성
  3. 디스크 I/O 성능 향상

패리티(Parity)란?

  1. 정수의 홀수 도는 짝수 특성
  2. 정보 블록과 연결된 중복 정보, 패리티는 오류 후 데이터를 재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계산된 값입니다.

레이드(RAID)의 종류

  • RAID는 구성 방식에 따라 RAID 0, RAID 1, RAID 2, RAID 3, RAID 4, RAID 5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2,3,4를 제와하고 Linear RAID, RAID 0, RAID 1, RAID 5, RAID 6, RAID 1+0을 자주 사용합니다.
  1. RAID 0

    • 스트라이핑(Striping) 방식입니다. 두 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2TB 하드 2개가 있다면 마치 4TB 하나 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한 개의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게 아니라 복수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해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나의 디스크가 문제가 발생하면 RAID0으로 구성된 모든 데이터가 유실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직 성능 향상을 위한 구성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RAID 1

    • RAID 1 미러링(Mirroring) 방식입니다. 데이터 처리 시, 동일한 디스크에 똑같이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를 중복 기록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장애 및 오류 발생 시, 다른 디스크를 통해 데이터를 쉽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공간 때문에 가용성 및 안전성이 높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간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비용이 두배로 듭니다)

  3. RAID 1+0

    • RAID 10은 RAID 0 과 1의 단일 시스템에 결합하여 사용한 방식입니다.

      미러링 되어있는 디스크들을 스트라이핑 하는 것으로 안정성과 속도를 모두 잡은 방식입니다. RAID 10은 디스크가 고장 났을 때 복구가 빠릅니다. RAID 5 는 디스크 하나가 고장 나면 다른 모든 디스크를 읽어야 하지만 RAID 10은 하나의 디스크만 읽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읽기 속도는 N배 속도는 N/2배 빨라집니다.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RAID 0+1

    • 앞서 언급한 RAID0은 데이터 처리 성능이 향상 되지만 안전성에 취약하다는 약점, RAID1은 데이터를 복제를 통해 안전성은 높지만 성능이 취약하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각각의 약점을 보안하기 위해 RAID 0 방식과 RAID 1 방식을 결합한 RAID 0+1 방식이 있습니다.

      2개 이상의 디스크를 RAID 0 방식으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분산처리하고, 각 각의 디스크에 RAID 1 방식으로 디스크를 추가하여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식입니다.

  5. RAID 3,4

    • RAID 3, 4 방식은 RAID 0 과 같이 데이터 분산처리방식을 사용합니다. 추가로 에러 체크 및 수정을 위한 패리티 (Parity) 정보를 별도의 디스크에 따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RAID 3 과 RAID 4 방식은 데이터 저장 단위에 따라 구분되는데요, RAID 3 은 Byte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면, RAID 4 는 블록(Block)단위로 저장합니다. 패리티 정보를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을 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고장 나더라도 패리티정보를 통해 복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패리티 정보를 디스크에 별도 보관하기 떄문에 해당 디스크 손실 시, 복구가 어렵다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6. RAID 5

    • RAID 5는 스타리이핑과 패리티를 같이 사용합니다. 패리티 정보를 별도 디스크에 보관 함으로 써 생기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방식이 RAID 5 방식입니다. 패리티 정보를 보관하는 디스크 구성 없이, 일정한 로직에 의해 데이터 분산처리 + 에러체크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성능, 안정성을 모두 고려한 형태로 서버 구축 시 많이 사용하고 있는 RAID 방식입니다.

댓글남기기